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부여서씨(徐)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徐(부여서씨)

 

 

본관(本貫): 부여(扶餘)

시조(始祖): 서융(徐隆)

유래(由來):

 

부여 서씨(扶餘徐氏)는 백제(百濟) 의자왕(義慈王:마지막왕, 재위기간:641- 660)의 셋째 아들 서융(隆)을 시조(始祖)로 받들고 있다.

「부여서씨세보(扶餘徐氏世譜)」에 의하면 660년(백제 의자왕20, 신라 무열왕 7) 백제가 나당 (羅唐) 연합군의 침공을 맞아 계백(階白)의 황산벌 혈전을 마지막으로 멸망되자 의자왕은 태자 (太子) 등 2,000여 명과 함께 당(唐)나라 무장(武將) 소정방(蘇定方)에게 압송되어 그 곳에서 죽으니, 당제(唐帝)는 의자왕에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의 품계를 내리고 의자왕의 아들 융 (隆)에게는 서씨(徐氏)의 성(姓)을 하사(下賜)하였으며 웅진도독(熊津都督)에 임명하여 본국으로 보냈다고 한다.

그리하여 부여 서씨의 문호(門戶)가 열리게 되었으나 그 후의 세계(世系)가 실전 (失傳)되어 융의 원손(遠孫)으로 고려조(高麗朝)에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태원군(太原君)에 봉해진 존(存)을 일세조(一世祖)로 받들고 부여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왔다.

 

가문의 중요 인물

 

서익(徐益)

1542(중종 37)∼1587(선조 2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자는 군수(君受). 호는 만죽(萬竹) 또는 만죽헌(萬竹軒). 아버지는 진사 진남(震男)이며, 어머니는 광주이씨(廣州李氏)로 직제학 약해(若海)의 딸이다.

1554년(명종 9) 13세 때 향시 ( 鄕試 )에 장원하고, 1564년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69년(선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병조·이조좌랑, 교리, 사인 ( 舍人 )을 역임하고, 외직으로 서천군수·안동부사·의주목사 등을 지냈다. 문장과 도덕, 그리고 기절(氣節)이 뛰어나 이이(李珥)· 정철 ( 鄭澈 )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다.

의주목사로 있을 때에는 정여립 ( 鄭汝立 )으로부터 탄핵을 받은 이이와 정철을 변호하는 소를 올렸다가 파직되기도 하였다. 의주에서는 이이의 영향을 받아 육조방략(六條方略)으로써 북방을 선무(宣撫)하였으며, 돌아와서는 12책(策)을 올리기도 하였다.

충청남도 은진 ( 恩津 )의 갈산서원(葛山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만죽헌집 萬竹軒集≫ 1권과 시조 2수가 있다.

 

서용갑(徐龍甲)

익의 아들 6형제 중 장남 용갑(龍甲)이 선조(宣祖) 때 영양 현감(英陽縣監)과 덕천 군수(德川郡守)을 지내고 광해군(光海君) 때 사색당파(四色黨派)의 하나인 대북파(大北派)가 일으킨 계축 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되어 네째 아우인 양갑(羊甲)과 함께 화(禍)를 입었고 뒤에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서필원(徐必遠)

1614(광해군 6) ∼ 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부여(扶餘). 자는 재이(載邇), 호는 육곡(六谷). 운검총제 익(益)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용갑(龍甲)이고, 아버지는 운기(雲驥)이다. 어머니는 이택민(李澤民)의 딸이다.

9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김집 ( 金集 )과 정홍명 ( 鄭弘溟 )에게 수학하였다. 1643년(인조 21) 관직에 올라 창릉참봉 · 사옹원봉사가 되었으며,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문원관을 거쳐 예문관검열과 설서 ( 說書 )를 역임하고 1654년(효종 5) 홍문관부수찬이 되었다. 그 뒤 사간원헌납 · 이조좌랑 · 평안도어사를 거쳤다.

1656년 수찬을 비롯, 사헌부지평 · 홍문관교리 · 이조정랑 등을 지내다 충청도관찰사가 되어서는 서원의 폐단을 보고하고 그 개혁을 청하였다. 1658년 대사간과 승지를 거쳐 전남도감사가 되었을 때, 대동법 ( 大同法 ) 시행에 찬동하여 전남도대동사목(全南道大同事目)을 반포하였다. 또 굶주린 백성을 구휼하기 위해 왕대비의 삭선(朔膳)을 감할 것을 청했다가 추고되었다.

1659년 진휼을 위해 속미(贖米)를 받고 중죄인을 석방했다가 파직당하였다. 현종 초년 병조참의 · 승지 · 대사성 · 예조참의 · 이조참의 등을 거쳐, 1663년(현종 4) 대사간 · 승지 · 병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목면 재배를 권장하고 구휼 사업에 힘쓰기도 하였다. 특히 육진혁막제조(六鎭革 壟 諸條)를 올려 그 지방의 폐단을 개혁하는 데 앞장섰다.

1665년에 강화유수가 되었고 그 뒤 형조참판, 1669년 형조판서를 거쳐 1671년 병조판서가 되었으나 그 해 죽었다. 민생을 구휼하고 지방의 폐단을 개혁하기 위한 실질적인 사업을 많이 하였다. 왕에게 직언을 잘하기로 이름이 나서 그 시대 이상진 ( 李尙眞 ) 등과 함께 오직(五直)이라 불렸다. 저서로 ≪ 육곡유고 ≫ 가 있다. 시호는 정헌(貞憲)이다.

 

서경조(徐敬祖)

필원의 아들로 목사(牧使)를 역임했다.

 

서정훈(徐正勳)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역임했다.

 

서계훈(徐啓勳)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를 역임했다.

 

서운휘(徐雲輝)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을 역임하였다.

 

서규달(徐逵達)

호조정랑(戶曹正郞)을 역임하였다.

 

서진문(徐鎭文)

현감(縣監)을 역임.

 

서무덕(徐武德)

공조참판(工曹參判)을 역임하였다.

 

 

출전 <한민족대성보>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26

鎭(진)

32

承(승)

38

晳(석)

27

祿(록)

33

植(식)

39

裕(유)

28

榮(영)

34

炯(형)

40

世(세)

29

勳(훈)

35

培(배)

41

鏞(용)

30

基(기)

36

鉉(현)

42

潤(윤)

31

善(선)

37

昶(창)

43

秀(수)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부여서씨(扶餘徐氏)는 남한(南韓)에 총 3,032가구, 13,04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325 밀양 손.jpg 밀양손씨(孫) 청남 14-08-29 6988
324 경주 손.jpg 경주손씨(孫) 청남 14-08-29 4349
323 진주 소.jpg 평산소씨:진주소씨(邵) 청남 14-08-29 4089
322 성씨(星) 청남 14-08-27 2421
321 창녕 성.jpg 창녕성씨(成) 청남 14-08-27 5775
320 경주 섭.jpg 경주섭씨(葉) 청남 14-08-27 2718
319 경주 설.jpg 경주설씨(薛) 청남 14-08-27 3115
318 순창 설.jpg 순창설씨:경주설씨(薛) 청남 14-08-27 4630
317 선우.jpg 태원선우씨(鮮于) 청남 14-08-27 3645
316 보성 선.jpg 보성선씨(宣) 청남 14-08-27 5633
315 월성 석.jpg 월성석씨:경주석씨(昔) 청남 14-08-27 4679
314 해주 석.jpg 해주석씨(石) 청남 14-08-27 3708
313 충주 석.jpg 충주석씨: 홍주석씨(石) 청남 14-08-27 3960
312 안음 서문.jpg 안음서문씨(西門) 청남 14-08-27 3177
311 서씨(西) 청남 14-08-27 2320
310 평당 서.jpg 평당서씨(徐) 청남 14-08-27 2862
309 절강 서.jpg 절강서씨(徐) 청남 14-08-27 2623
308 장성 서.jpg 장성서씨(徐) 청남 14-08-27 3550
307 이천 서.jpg 이천서씨(徐) 청남 14-08-27 4002
306 연산 서.jpg 연산서씨(徐) 청남 14-08-27 349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