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함평모씨(牟)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함평모씨)

 

 

본관(本貫): 함평(咸平)

시조(始祖): 모경(牟慶)

유래(由來):

 

모씨(牟氏)는 본래 중국(中國) 평양(平陽:지금의 절강성 구해도 임분현)에서 계출(系出)되었다고 하며, 고대(古代) 축융(祝融)의 후예(後裔)가 고을 이름을 성()으로 삼은 것이 시원(始源)을 이룬 것으로 전한다.

 

우리나라 모씨(牟氏)의 연원(淵源)은 중국(中國) 관서지방의 홍농(弘農) 출신인 모경(牟慶)이 고려(高麗)때 귀화하여 뿌리를 내리게 되면서 부터이다.

 

함평모씨세보(咸平牟氏世譜)에 의하면 모경(牟慶)은 북송(北宋)의 휘종조(徽宗朝:북송의 8대 왕)에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호북경서(湖北京西) 선무사를 거쳐 이부 상서(吏部尙書)를 지내고 북송의 마지막 왕조(王朝)인 흠종(欽宗)때 대사마 대장군(大司馬大將軍)에 올랐다.

고려에서 척신(戚臣) 이자겸(李資謙)이 반역을 꾀하고 왕비(王妃)를 시켜 수차왕을 독살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을 때 모경이 사신(使臣)으로 왔다가 이 모반 음모를 저지하고 왕권(王權)을 바로 세우는 데 공()을 세워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서훈되었다.

그 후 귀국하여 홍농후(弘農侯)에 봉해졌으나 금() 나라가 송경(宋京)을 침입하고 휘종과 흠종 두 황제를 납치해 가자 고려에 도움을 청하러 나왔다가 송나라가 패망하고 귀국길이 막히자 고려에 귀화하여 그대로 머무르게 되었다.

고려에서는 이자겸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모경을 후대하여 평장사(平章事)의 벼슬을 내리고 모평군(牟平君)에 봉하여 우리나라 모씨(牟氏)의 터를 이루게 하였다.

 

모씨의 본관(本貫)은 함평(咸平) 외에도 진주(晋州), 인천(仁川), 영평(永 平), 무안(務安), 해평(海平), 청도(淸道), 창성(昌城) 12본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나 모두가 함평 모씨(咸平牟氏)의 분파(分派)이며, 현존(現存)하는 함평 모씨와 진주 모씨(晋州牟氏)는 계보(系譜)를 같이하고 있다.

 

가문의 중요 인물

 

모광정(牟光炡)

시조 경()의 아들 4형제 중 장남 광정(光炡)이 고려 의종(毅宗)때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역임했다.

 

모정린(牟挺麟), 모호(牟皓)

광정의 맏아들 정린(挺麟)은 명종조(明宗朝)에 전서(典書)를 지냈다.

 

모여장(牟汝長)

한편 부자(父子) 평장사(平章事)로 이름을 떨쳤던 여장(汝長)은 정린의 증손(曾孫)이며, 그의 아들 호()1306(충렬왕 32)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교관(敎官)을 지내고 삼군도총제부원수(三軍都 摠制副元帥)가 되어 원()나라 침공 때 많은 전공(戰功)을 세워 평장사(平章事)에 올랐다.

 

모순(牟恂)

()1417(태종 17)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사간(左司諫)을 거쳐 합천 군수(陜川郡守)로 나가 선정(善政)을 베풀어 재임동안 보릿고개에도 굶어죽는 사람이 없고 문을 열어 놓아도 도둑이 들지 않았다고 하며, 효성(孝誠)이 지극하여 어머니 초계 정씨(草溪鄭氏)가 종기로 고생하자 고름을 입으로 빨아내 낫게 하였고, 늙어서 대변을 누자 맛을 보고 환후를 알았다고 한다.

특히 그의 효행(孝行)에 대해 전해지는 전설적인 일화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 세택(世澤)이 병으로 눕자 그는 주야 (晝夜)를 가리지 않고 병간호를 극진히 했으며 약을 구하러 가던 중 큰 비가 쏟아져 냇물이 불어나 건널 수 없자 하늘을 향해 통곡하니 비가 그쳤고, ()을 당한 후 강물이 불어 건널 수 없게 되자 하늘을 향해 외치니 강물이 흐름을 멈췄다고 한다. 그로 인하여 절강(截江)이라는 아호(雅號)를 얻게 되었으며, 그이 효행이 알려지자 나라에서는 경남 진양군 사봉면(慶南晋陽 郡寺奉面) 등건 마을 입구에다 정려각(旌閭閣)을 세워 그의 효행을 사표로 삼게 했다.

세조(世祖)가 단종(端宗)을 폐위 하고 왕위(王位)을 천탈한 후 <절강일명 명어해동 종산일발 수양동청(截江一名 明於海東 種山一髮 首陽同靑:절강이라는 한 이름이 해동을 밝히고 종산의 한 머리칼은 수양과 함께 푸르리)>이라는 시()을 지어보내 은근히 자신을 따르도록 회유했으나, 그는 끝까지 절개를 굽히지 않아 진주(晋州)의 삼가현(三嘉縣)에 유배되었다.

 

모정(牟禎)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왜병(倭兵)과 대적했다.

 

모유추(牟有秋)

()의 증손 유추(有秋)는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양덕 현감(陽德縣監)을 지냈다.

 

모일성(牟一成)

언양 현감(彦陽縣監)을 역임.

 

모세무(牟世茂)

숙종(肅宗)때 흥양 현감(興陽縣監)을 지냄.

 

 

 

출전 <한민족대성보>.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25

(),()

()

28

(),()

()

31

(),()

()

26

(),()

()

29

(),()

()

32

(),()

()

27

(),()

()

30

(),()

()

33

(),()

()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남한(南韓)에 총 3,757가구, 16,037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85 포계 변.jpg 초계변씨: 밀양변씨(卞) 청남 14-08-27 6933
284 황주 변.jpg 황주변씨(邊) 청남 14-08-27 3176
283 장연 변.jpg 장연변씨(邊) 청남 14-08-27 3091
282 원주 변.jpg 원주변씨(邊) 청남 14-08-27 4476
281 안주범씨(凡) 청남 14-08-27 2036
280 금성 범.jpg 금성범씨(范) 청남 14-08-27 3373
279 수원 백.jpg 수원백씨(白) 청남 14-08-27 5612
278 흥해 배.jpg 흥해배씨(裵) 청남 14-08-27 3975
277 성산 배.jpg 성산배씨: 성주배씨(裵) 청남 14-08-27 5559
276 분성 배.jpg 분성배씨(裵) 청남 14-08-27 4551
275 달성 배.jpg 달성배씨(裵) 청남 14-08-27 4655
274 관산 배.jpg 곤산배씨:곤양배씨(裵) 청남 14-08-27 3155
273 진강방씨(邦) 청남 14-08-27 2174
272 태원 방.jpg 태원방씨(龐) 청남 14-08-27 2658
271 개성 방.jpg 개성방씨(龐) 청남 14-08-27 2861
270 남양 방.jpg 남양방씨(房) 청남 14-08-27 5092
269 온양 방.jpg 온양방씨(方) 청남 14-08-27 4882
268 개성반씨(班) 청남 14-08-27 2380
267 거제 반.jpg 거제반씨(潘) 청남 14-08-27 4873
266 함양 박.jpg 함양박씨(朴) 청남 14-08-27 384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