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온양정씨(鄭)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鄭(온양정씨)

 

 

본관(本貫): 온양(溫養)

시조(始祖): 정보천(鄭普天)

유래(由來):

 

온양정씨(溫陽鄭氏)의 시조(始祖)는 고려에서 호부 상서(戶部尙書)를 역임한 정보천(鄭普天) 이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고려 태조(太祖)가 탕정(湯井 : 온양의 고호)에 왔다가 고을 관리의 공(功)을 가상히 여겨 누대(累代)가 토착 세거(土着世居)한 정씨 일가(鄭氏一家)에게 향직(鄕職)인 호장(戶長)을 제수(除授)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온양(溫陽)을 본관(本貫) 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중요 인물

 

정작정(鄭作貞), 정작진(鄭作珍)

보천(普天)의 아들 작진(作珍)과 작정(作貞)이 함께 찬성사(贊成事)를 역임했다.

 

정존구(鄭存玖)

보천의 손자 존구(存玖)는 헌납(獻納)을 역임하였다.

 

정자준(鄭自準)

보천의 증손 자준(自準)은 간의대부 (諫議大夫)를 지냈다.

 

정응휴(鄭應休)

찬성사(贊成事) 달존(達尊)의 아들 응휴(應休)는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문과에 급제하고 감찰어사(監察御使)를 역임하여 가문을 중흥시켰다.

 

정순붕(鄭順朋)

조선조(朝鮮朝)에서 판서(判書)를 역임한 백붕(百朋)과 탁(鐸)의 아들 순붕(順朋)이 유명했다. 순붕(順朋)은 연산군(燕山君) 때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하여 공조(工曹) 및 병조참판(兵曹參判) 등을 거쳐 중종(中宗)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를 지낸 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고, 명종(明宗)이 즉위하자 소윤(小尹)으로서 윤원형(尹元衡) . 이 기(李 ) 등과 함께 윤 임(尹任)등 대윤(大尹) 일파를 제거하는데 크게 활약하여 보익일등공신(保翼一等功臣)으로 우찬성(右贊成) 겸 지경연사(知經筵事)에 승진하여 온양부원권(溫陽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우의정(右議政)에 올랐다.

 

정염

순봉의 아들 염( )은 중종(中宗)과 명종대(明宗代)에 이름난 학자(學者)로 한 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냈으며, 유(儒). 불(佛). 도교(道敎)는 물론 천문(天文). 의술. 음률(音律)에 정통했고, 문장(文章)과 산수화에도 일가(一家)를 이루었다.

 

정현

1526(중종 21)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 溫陽 ), 자는 경서(景舒), 호는 만죽헌(萬竹軒) · 세한당(歲寒堂) · 소요산인(逍遙山人) · 내욕거사(耐辱居士). 아버지는 우의정 순붕(順朋)이며, 어머니는 양녕대군 ( 讓寧大君 )의 후손인 봉양부정(鳳陽副正) 이종남(李終南)의 딸이다. 둘째아버지 백붕(百朋)에게 입양되었다.

1545년 명종이 즉위한 뒤 그의 아버지가 이기(李 咬 ) · 임백령 ( 林百齡 ) 등과 을사사화를 일으키자, 그는 15세의 어린 나이로 의복을 변장하고 노비들 틈에 끼어 윤임 ( 尹任 ) · 유관 ( 柳灌 ) 등 대윤일파의 사정을 탐지, 제공하는 등 대윤을 제거하는 데 적극 협력한 공으로 위사공신 ( 衛社功臣 ) 3등에 책록되고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에 제수되었다.

이어 주부로 승진, 1550년(명종 5) 중부주부(中部主簿)를 거쳐 사옹원판관이 되었고, 이듬해에는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가 되어 정업원 ( 淨業院 )의 토목공사를 상소하여 중지시켰다. 155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는 충훈부경력(忠勳府經歷)으로 승진하여 군적 ( 軍籍 )을 철폐할 것을 상소하였다.

1560년 왕의 특지로 이천도호부사가 되고 이어 대호군으로 전임하였는데, 이 때 조정의 공론이 윤원형 ( 尹元衡 )의 관작삭탈을 주장하자 이를 변호하였으나 채납되지 않았다. 이어 성천도호부사로 나갔다가 사직하고, 양주 소요산에 은거하였다.

서예에도 뛰어났는데, 서법이 매우 기이하였으며, 정백붕의 비갈(碑碣), 충훈부의 편액, 해주 부용당 ( 芙蓉堂 )의 현판 등이 그의 글씨로 알려지고 있다. 저서로는 ≪ 만죽헌유고 ≫ 가 있다

 

정작

1533(중종 28) ∼ 1603(선조3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 溫陽 ). 자는 군경(君敬), 호는 고옥(古玉). 아버지는 좌의정 순붕(順朋)이다.

아버지가 이기(李 咬 ) · 윤원형 ( 尹元衡 ) 등에게 아부하여 세인으로부터 원흉의 한 사람으로 지목받았는데,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윤임 ( 尹任 ) · 유관 ( 柳灌 ) · 유인숙 ( 柳仁淑 ) 등을 죽인 뒤 유관의 재산을 몰수하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

평소 학문에 정진하던 그는 선조 때 벼슬이 이조좌랑에 이르렀으나 아버지의 과거 전력이 세인의 지탄을 받게 되자 술로 세월을 보냈다. 그러나 평소 시를 즐겨 주선(酒仙)의 칭을 얻기도 하였고, 특히 서예에 뛰어나 초서와 예서를 잘 썼다.

포천현감을 지낸 형 염( 毆 )과 함께 의술에 뛰어나서 1596년(선조 28)에는 ≪ 동의보감 ≫ 편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벼슬은 사평(司平)에 이르렀다

 

정사웅(鄭士雄)

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 溫陽 ). 자는 경빈(景贇), 호는 내암(耐菴). 정랑 탁(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구붕(龜朋)이며, 아버지는 자(磁)이다. 1589년(선조 22)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601년 형조좌랑을 거쳐 병조와 예조의 정랑을 역임하였다.

또한, 어려서부터 백가의 서와 부를 읽고 시에 능통하여 일찍이 노사백(老詞伯)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그가 지은 시 29수가 있고, 저서로는 ≪내암집≫이 있다.

 

정희번(鄭嬉藩)

공신(功臣)에 올랐으며 온성군(溫城君)에 봉해졌다.

 

정예남(鄭禮南)

의학(醫學)에 능통하여 [서주유고(西疇遺稿)]를 집필한 예남(禮南)이 뛰어났다.

 

정두경(鄭斗卿)

1597(선조 30) ∼ 1673(현종 14). 조선 후기의 문인 · 학자. 본관은 온양 ( 溫陽 ). 자는 군평(君平), 호는 동명 ( 東溟 ). 아버지는 호조좌랑을 지낸 회(晦)이며, 어머니는 광주정씨(光州鄭氏)로 사헌부장령 이주(以周)의 딸이다. 이항복 ( 李恒福 )의 문인이다.

할아버지 지승(之升)과 증조부 담( 肆 ), 종증조부 염( 毆 ) · 작( 殯 )은 모두 시인으로 이름이 났다. 14세 때 별시 초선(初選)에 합격하여 문명을 떨쳤다. 1626년(인조 4) 문학으로 이름있는 중국의 사신이 왔을 때 그는 벼슬없는 선비로서 부름을 받아 김류(金 濫 ) 등과 함께 중국 사신을 접대하였다.

1629년 별시문과에 장원, 부수찬 · 정언 등을 역임하였다. 이때 북방의 호족(胡族)인 청나라가 강성하여지자 〈 완급론 緩急論 〉 을 지어 무비(武備)의 급함을 강조하였다. 병자호란 때 척화 · 강화의 양론이 분분하자, 그는 10조(條)의 소를 올려 대책을 강조하고, 또 〈 어적10난 禦敵十難 〉 이라는 글을 지어 올렸으나 조정에서 채택하지 않았다.

그 뒤 여러 차례 벼슬을 내렸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고 〈 법편 法篇 〉 · 〈 징편 懲篇 〉 등 2편의 풍시(諷詩)를 지었다. 효종이 즉위하자 임금이 하여야 할 절실한 도리를 27편의 풍시로 지어올려 효종으로부터 호피(虎皮)를 하사받았다.

그 뒤 1656년(효종 7)에 〈 칠조소 七條疏 〉 와 〈 원이설 原理說 〉 을 지어 올렸다. 1669년(현종 10) 홍문관제학을 거쳐 예조참판 · 공조참판 겸 승문원제조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노병으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이조판서 · 대제학을 추증하였다. 저서로는 ≪ 동명집 ≫ 26권이 있다.

 

정민시(鄭民始)

1745(영조 21)∼1800(정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 溫陽 ). 자는 회숙(會叔). 수곤(壽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겸(光謙)이고, 아버지는 군수 창유(昌兪)이며, 어머니는 이산보(李山輔)의 딸이다. 숙부 창사(昌師)에게 입양되었다.

1773년(영조 4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부터 홍문관수찬·세자시강원필선을 지내면서 세손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가 즉위하자 승정원 동부승지가 되었다. 그 뒤 호조참의·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규장각직제학·선혜청제조· 수어사 ( 守禦使 )·대사성·이조참판 등을 지내다가 1781년(정조 5) 예조판서에 올랐다.

이어 호조 및 이조의 판서를 거쳐 의정부우참찬 겸 선혜청당상에 오르고, 다시 형조 및 공조의 판서와 의정부좌참찬 등을 지내다가 1784년부터 죽을 때까지 평안도관찰사·병조판서·함경도관찰사·장용위대장(壯勇衛大將)·돈녕부판사 등을 차례로 지냈다.

정조가 즉위하면서 홍국영 ( 洪國榮 )과 함께 발탁되어 한세상의 권력이 모두 돌아갔으나 끝까지 분수를 지켜 정조의 극진한 사랑을 받았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정조는 시장 ( 諡狀 )을 거치지 않고 바로 증직과 시호를 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순조가 즉위하여 벽파 ( 僻派 )의 대왕대비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金氏)가 청정하게 되자 사리사욕을 도모한 죄로 삭탈관직되었다. 뒤에 아들 성우(性愚)의 상소로 복관되어,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헌(忠獻)이다.

 

정만석(鄭晩錫)

1758(영조 34)∼1834(순조 3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 溫陽 ). 자는 성보(成甫), 호는 과재(果齋). 하경(夏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신(維新)이고, 아버지는 지중추부사 기안(基安)이며, 어머니는 김상정(金相鼎)의 딸이다.

1783년(정조 7) 생원시에 합격하고, 그 해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5년 성균관전적·병조참의를 거쳐 1794년에 지평에 이르렀다. 그 해 11월 양근·가평어사가 된 뒤 호남·호서 암행어사로 나가 명성을 떨쳤다. 1798년 영일현감으로 외직에 나갔다.

1801년(순조 1) 교리를 거쳐 하정사 ( 賀正使 )의 서장관 ( 書狀官 )으로서 청나라에 파견되었다. 그 뒤 경상우도암행어사를 거쳐 1803년 동래부사 때 뇌물을 받고 대마도(對馬島)와의 통신서계(通信書契)를 위조한 역관을 처벌하였다.

1807년 공충도관찰사를 거쳐, 1811년 평안도에서 홍경래 ( 洪景來 )의 난이 발생하자 민심 수습을 위해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었다. 그러나 민심 수습을 위한 호포(戶布) 징수상의 문제와 논공행상의 불철저로 일시 파직되었다가 곧 평안감사가 되었다.

감사로 있으면서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해, 이 기록을 ≪관서신미록 關西辛未錄≫이라 하여 임금에게 올렸다. 이것은 그가 올린 ≪계첩기략 啓牒記略≫과 함께 조정에서 이용한 홍경래난의 주요한 자료였다.

1815년(순조 15) 한성부판윤 이후 호조판서를 거쳐 1819년 동지정사(冬至正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로 나갔다가 다시 경직 ( 京職 )으로 돌아와 요직을 역임했고, 1829년 우의정이 되었다.

외직에 있을 때에는 선정을 베풀어 청백리 ( 淸白吏 )로 불렸다 한다. 하지만 중앙에서는 국가 경제에 관한 일을 담당하는 호조판서·선혜청당상이 되어 명성을 떨쳤으나, 번세(煩細)에 얽매여 대체(大體)에 어두웠다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현재 전하는 저서로는 ≪관서신미록≫이 있다. 시호는 숙헌(肅獻)이다.

 

정태호(鄭泰好)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다.

 

정일영(鄭日永)

참판(參判)을 역임하였다.

 

 

출전 <한민족대성보>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32

在(재)

36

榮(영)

40

東(동)

33

鎭(진)

37

均(균)

41

燮(섭)

34

海(해)

38

鐘(종)

42

 

35

植(식)

39

淳(순)

43

 

 

정씨(溫陽鄭氏)는 남한(南韓)에 총5,689가구, 24,134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645 장기 정.jpg 장기정씨(鄭) 청남 14-08-30 3375
온양 정.jpg 온양정씨(鄭) 청남 14-08-30 5530
643 예천정씨(鄭) [3] 청남 14-08-30 2435
642 영일 정1.jpg 연일정씨: 영일정씨(鄭) [1] 청남 14-08-30 9630
641 영덕정씨(鄭) 청남 14-08-30 3019
640 야성 정.jpg 야성정씨(鄭) 청남 14-08-30 3086
639 서산 정.jpg 서산정씨(鄭) 청남 14-08-30 3193
638 서경정씨(鄭) 청남 14-08-30 2436
637 봉화 정.jpg 봉화정씨(鄭) 청남 14-08-30 3680
636 동랴 종.jpg 동래정씨(鄭) 청남 14-08-30 6751
635 낭야 정.jpg 낭야정씨(鄭) 청남 14-08-30 3295
634 나주 정.jpg 나주정씨(鄭) 청남 14-08-30 3439
633 김포 정1.jpg 김포정씨(鄭) 청남 14-08-30 2524
632 금성 정.jpg 금성정씨(鄭) 청남 14-08-30 4386
631 광주 정.jpg 광주정씨(鄭) 청남 14-08-30 3332
630 고성 장.jpg 고성정씨(鄭) 청남 14-08-30 2936
629 경주 정.jpg 경주정씨(鄭) 청남 14-08-30 4474
628 한산점씨(占) 청남 14-08-30 2599
627 문경 전.jpg 문경전씨(錢) [1] 청남 14-08-30 3696
626 하음전씨(田) [3] 청남 14-08-30 300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