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함안이씨(李)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아라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함안이씨)

 

본관(本貫): 함안(咸安)

시조(始祖): 이상(李尙)

유래(由來):

 

함안이씨(咸安李氏)의 시조(始祖) 이상(李尙)은 위위시주부동정(衛慰時主簿同正)을 지낸 원조(遠祖) 원서(元敍)의 후손으로 고려 때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오르고 파산군(巴山君)에 봉해졌다.

그 후 문헌의 실전(失傳)으로 선계(先系)를 상고(詳考)할 수 없으므로 후손들은 선조(先祖)들의 세거지(世居地)인 함안(咸安)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중요 인물

 

이청(李淸)

()의 아들 청()은 문하시랑평장사(文下時郞平章事)를 역임했다.

 

이원(李源)

()은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으며, 이 두 형제파가 함안 이씨(咸安李氏)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다.

 

이방실(李芳實)

? 1362(공민왕 11).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함안(咸安). 함안이씨의 시조이다. 충목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호종(扈從)한 공으로 왕이 즉위하자 중랑장이 되었고, 이어 호군 ( 護軍 )이 되었으며, 아울러 전() 100()도 받았다.

1354(공민왕 3) 대호군이 되어 용주 ( 龍州 )의 군사를 이끌고 선성(宣城)에서 민란을 일으켜 다루가치(達魯花赤) 노연상(魯連祥) 부자를 쳐서 진압하였다.

1359년 위평장(僞平章) · 모거경(毛居敬) 등의 홍건적이 4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의주, 정주 ( 靜州 ) · 인주 ( 麟州 ) 등을 함락한 뒤 인주에서 웅거하자 안우 ( 安祐 ) · 이음 ( 李蔭 ) · 이인우(李仁祐) 등과 함께 철주 ( 鐵州 )에서 이를 격퇴시켰다.

이듬해 상장군이 되어 다시 철화(鐵化)에서 적을 격퇴하였고, 뒤이어 상만호가 되어 함종 ( 咸從 )에 들어온 적을 배후에서 공격하고 고선주(古宣州)에서 접전한 끝에 의주 쪽으로 퇴각시켰다.

홍건적 격퇴의 공으로 추성협보공신(推誠協輔功臣)에 봉해지고 추밀원부사에 올랐다. 뒤에 홍건적이 배 70척으로 서해도에 침입했을 때 풍주( 淵 州)에서 물리쳐 그 공으로 옥대 ( 玉帶 )와 옥영(玉纓)이 하사되었다.

1361년 사유(沙劉) · 관선생(關先生) 등의 홍건적이 20여만의 무리를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삭주 등지에 쳐들어오자 추밀원부사로서 서북면도지휘사가 되어 상원수 안우, 병마절도사 김득배 ( 金得培 ), 지휘사 김경제(金景 喪 ) 등과 함께 개주(价州 : 지금의 개천) · 연주(延州 : 지금의 영변) · 박주(薄州 : 지금의 삭천) 등지에서 요격했으나 안주와 절령( 上 嶺)에서 참패해 공민왕은 복주(福州 : 지금의 안동)로 피난하고 개경은 함락되었다.

1362년 총병관(摠兵官) 정세운 ( 鄭世雲 ) · 김득배 · 안우 · 안우경 ( 安遇慶 ) · 최영 ( 崔瑩 ) · 이성계 ( 李成桂 ) 등과 함께 개경을 수복하고 사유 · 관선생을 죽였다. 이어 중서시랑평장사에 올랐으나 김용 ( 金鏞 ) · 박춘 ( 朴椿 )에 의해 안우 · 김득배 등과 함께 살해되었다.

 

이미(李美)

함안 이씨를 명문(名門)의 위치에 올려놓는데 중심적 역할을 한 미()는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이름이 났고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고 병조 판서(兵曺判書)에 추증(追贈)되었다.

미의 아들 4형제가 모두 문과에 급제하여 [5부자 6급제(五父子六及第)] 집안으로 명성을 떨쳤다.

 

이인형(李仁亨)

1436(세종 18)?.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공부(公夫), 호는 매헌(梅軒). 함안 출신. ()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참의 원로(元老)이고, 아버지는 대사성 미()이며, 어머니는 단양우씨(丹陽禹氏)로 감찰 도()의 딸이다. 김종직 ( 金宗直 )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15, 16세에 문명이 널리 알려졌다.

1455(세조 1)20세로 진사시에 합격하여 재지를 인정받았으나, 젊은 나이에 출사하는 것은 교만한 성품을 기른다고 하면서 집에서 문을 닫고 독서하였다. 1468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전교(傳敎)에 임명되고, 1470년 성균관전적이 되고, 이어 부교리·응교 등을 지냈다.

1473(성종 4) 북평사에 임명되어서는 적의 침략에 대비가 소홀하였다는 이유로 고신 ( 告身 )을 몰수당하기도 하였다. 이후 귀향하여 잠시 벼슬에 뜻을 버리고 형제들과 학문에 열중하였다가 얼마 뒤 다시 관직에 복귀하였다.

1478년 병조정랑 겸 승문원교감이 되었고, 이듬해는 어머니 봉양을 위하여 김산군수를 자청하였다. 당시 김산군에는 개령(開寧)에 요승(妖僧)이 있어 온갖 방법으로 세상을 어지럽히고 사람들을 속였는데, 아전을 시켜 요승을 잡아 처치하고 요승의 근거지를 불태워서 민폐를 막았다.

1485년 응교, 1488년 사간을 지내고, 이어 양산군수·의정부사인이 되었다. 1494년 종부시정이 되어서는 임금의 병을 치유하기 위하여 목멱산에 치제할 때 행향사(行香使)가 되었고, 1495(연산군 1) 대사간에 올랐다.

1496년 동부승지·좌부승지가 되었고, 이듬해 성종의 유고(遺稿) 정리와 사가독서 ( 賜暇讀書 )의 재시행을 청하였다. 이어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1498년 전라도관찰사에서 체임(遞任)되었다. 1500년 겸동지성균관사가 되고, 이어 한성부우윤·대사헌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한성부의 좌윤을 지냈다. 1502년 다시 한성부의 좌·우윤이 되었다. 1504(연산군 10) 논구유생사 論救儒生事의 수창자로 지목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6(중종 1) 신원되어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이어서 자손녹용(子孫錄用)의 은전을 받았다. 1844(헌종 10) 경상남도 고성(固城)의 위계서원 ( 葦溪書院 )에 제향되었다.

 

이세응(李世應)

1473(성종 4) 1528(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 반정공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공보(公輔) 또는 국보(國輔), 호는 안재(安齋) · 수옹(睡翁). ( )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재감부정 흥손(興孫)이고, 아버지는 계통(季通)이며, 어머니는 곽산군수 유맹근(柳孟近)의 딸이다.

1496(연산군 2) 사마시에 합격하고 1501(연산군 7)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해 장악원직장에 임명되고 봉상시주부에 올랐다. 그 뒤 정언으로 발탁되어 이조좌랑 · 병조정랑 겸 춘추관기주관, 의정부 검상 및 사인 등의 청요직(淸要職)을 차례로 거쳤다.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해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에 녹훈되고, 내자시부정(內資寺副正)으로 승진하였다.

이듬 해 사간원사간이 되어 당시의 권신 유자광 ( 柳子光 )을 탄핵해 귀양보내고, 1510(중종 5) 통정대부 ( 通政大夫 )에 올라 병조참지가 되었다. 뒤이어 승정원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 춘추관수찬관을 지냈으며, 밀양부사로 부임해 토호들의 작폐를 엄금해 칭송을 받았다.

이어 장례원판결사 · 강원도관찰사 · 병조참의 · 우부승지를 거쳐 1518년 가선대부 ( 嘉善大夫 )의 품계로 승진, 함안군(咸安君)에 봉해지고, 충청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이 때 충청 · 경상도 세곡(稅穀)의 집산지인 충주에 창고가 없어 노적된 곡식의 관리와 수송에 막대한 지장이 있자 경상도관찰사 김안국 ( 金安國 )과 의논, 충주 가흥창 ( 可興倉 ) 건물을 축조하였다.

그 해 말 정조사 ( 正朝使 )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나, 앞서 가흥창 설립 당시 손해를 입은 상인들의 모함으로 상호군으로 물러났다. 1519년 판결사로 서용되고, 뒤이어 경상좌병사 · 한성부우윤 겸 도총부부총관 · 호조참판을 거쳐 다시 평안도관찰사가 되었는데 과로로 순직하였다.

효성이 뛰어나고 청렴결백해 일찍이 중국 사신으로 다녀올 때 요동(遼東)에 이르러 일행이 사사로이 무역한 물건들을 적발, 소각하였다. 시호는 양간(襄簡)이다.

 

이영(李令)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영()은 인형(仁亨)의 셋째 아들로 스승 조광조(趙光祖)를 구하려다 화()를 당하였다.

 

이임(李霖)

인물로는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세응(世應)의 아들 임()이 유명하다.

 

이달(李達),이응성(李應星),이왕(李旺)

임진왜란(壬辰倭亂)때 의병장으로 공()을 세웠다.

 

이굉

굉은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으로 이름을 날려 명문인 함안 이씨를 더욱 빛낸 인물이다.

 

 

출전 <한미녹대성보>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22

()

25

(),()

()

28

(),()

(),()

23

(),()

26

(),()

(),()

29

(),()

(),()

24

(),()

(),()

27

(),()

(),()

30

 

 

198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함안 이씨(咸安李氏)는 남한(南韓)에 총 7,792가구, 31,938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545 해남 이1.jpg 해남이씨(李) 청남 14-08-30 2445
544 합천 이.jpg 합천이씨(李) 청남 14-08-30 4026
543 함평 이.jpg 함평이씨(李) 청남 14-08-30 3084
함안 이.jpg 함안이씨(李) 청남 14-08-30 3915
541 한산 이.jpg 한산이씨(李) 청남 14-08-30 5223
540 학성 이.jpg 학성이씨(李) 청남 14-08-30 3620
539 하음이씨(李) 청남 14-08-30 2238
538 하빈 이.jpg 하빈이씨(李) [1] 청남 14-08-30 6173
537 평창 이.jpg 평창이씨(李) 청남 14-08-30 4019
536 평산 이.jpg 평산이씨(李) 청남 14-08-30 2778
535 통진 이.jpg 통진이씨(李) 청남 14-08-30 2182
534 태원 이.jpg 태원이씨(李) 청남 14-08-30 2217
533 태안 이.jpg 태안이씨(李) 청남 14-08-30 4558
532 충주 이.jpg 충주이씨(李) 청남 14-08-30 3222
531 청해 이.jpg 청해이씨(李) 청남 14-08-30 2986
530 청안 이.jpg 청안이씨(李) 청남 14-08-30 4017
529 청안이씨(李) 청남 14-08-30 2401
528 청송 이.jpg 청송이씨(李) 청남 14-08-30 2499
527 창녕 이.jpg 창녕이씨(李) 청남 14-08-30 2873
526 진주 이.jpg 진주이씨(李) 청남 14-08-30 328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