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무송유씨(庾)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무송유씨)

 

 

본관(本貫): 무송(茂松)

시조(始祖): 유금필

유래(由來):

 

유씨(庾氏)는 본래 중국에서 계출된 성씨(姓氏)로 한()나라 말기와 진()나라 초기에 유순유(庾荀悠)가 우리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건너와 정착하여 살면서부터 유씨(庾氏)의 시원(始原)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 후 후손(後孫) 유금필이 정서 대장군(征西大 將軍도통 대장군(都統大將軍)을 역임하면서 고려 개국(高麗開國)에 공을 세워 삼중대광 통합삼 한익찬공신(三重大匡統合三韓翊贊公臣)으로 태사(太師)에 추증(追贈)되고 식읍(食邑)을 하사(下賜) 받았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하고 조상의 세거지(世居地)인 평산(平山)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중요 인물

 

유녹숭(庾祿崇)

?1114(예종 9). 고려 중기의 문신. 자는 구수(龜壽). 본관은 무송 ( 茂松 ). 1099(숙종 4) 우산기상시(右散騎常侍), 1102년 좌산기상시로서 지서북면병마사 (知西北面兵馬使)를 거쳐 추밀원사 겸 태자빈객(樞密院使兼太子賓客)이 되었다.

이듬해 상서좌복야 참지정사(尙書左僕射參知政事)에 오르고, 예종 때 참지정사로 치사(致仕)하였다. 숙종 때 남경(南京 : 지금의 서울)으로 수도를 옮기고자 할 때 유신 ( 柳伸 )과 더불어 반대하였다. 시호는 안정 ( 安貞 )이다

 

유방(庾方)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재신(宰臣). 993(성종 12) 거란의 소손녕이 침입하여오자 화친사로 감찰사헌 이몽전(李蒙 駟 )을 보내었는데 돌아와서 아무런 회답이 없자 드디어 안융진 ( 安戎鎭 )을 공격하게 되었다.

이때 대도수(大道秀)와 함께 낭장으로서 소손녕과 싸워서 이기니 더 이상 진군하지 못하고 거란군은 항복하기만을 재촉하였다. 1009(목종 12) 왕의 병환이 위중하므로 친종장군으로서 중랑장 하공진 ( 河拱辰 ) · 탁사정 ( 卓思政 ) 등과 함께 근전문(近殿門)을 수직(守直)하였다.

1020(현종 11) 예부상서 양진(梁 貰 )과 형부시랑 한거화(韓去華)를 거란에 보내어 왕자를 연경군(延慶君)으로 책봉한 것을 알리려 하므로 재신으로서 그만두자고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문하시중으로 치사하고 1019년 천승현개국남(千乘縣開國男)에 봉하여졌다

 

유필(庾弼)

예종(睿宗) 때 참지정사(參知政事)에 오른 녹숭(祿崇)의 아들 필()이 판이부사(判吏部事)를 지냈다.

 

유응규(庾應奎)

1131(인종 9) 1175(명종 5). 고려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 ( 茂松 ). 초명은 원규(元規). 자는 빈옥(賓玉). 아버지는 판이부사(判吏部事) ()이다. 뛰어나게 총명하고 풍채가 아름다워 사람들이 옥인(玉人)이라 하였다고 한다.

글을 잘 지었으나 두번이나 과거에 실패하여 음보(蔭補)로 내시가 된 뒤 참관(參官 : 參上官)이 되었다. 뒤이어 지방관으로 남경 ( 南京 )에 나가 청렴하고 정사를 잘 하여 합문지후(閤門祗候)가 되었다가, 뒤에 고공원외랑(考功員外郎)이 되었다.

1170(의종 24) 정중부 ( 鄭仲夫 ) 등의 반란으로 명종이 즉위하자, 내시로 기용되었다가 공부낭중(工部郎中)이 되어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선위(禪位)의 사실을 알리고 돌아와 그 공으로 군기감 겸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었다.

금나라에 가서 보여준 고매한 인격은 뒤에 금나라의 사신들로 하여금 모두 반드시 안부를 묻게 하였다. 1173(명종 3) 동북면병마사 김보당 ( 金甫當 )이 무신정권에 반기를 들다가 잡혀 죽었다.

이 때, “ 모든 문신과 함께 도모하였다. ” 라고 무고함으로써 화를 입을 뻔하였으나, 무고한 사람을 죽이면 재앙을 면하지 못할 것이라고 설득하여 무사하였다.

이듬해 서경유수 조위총(趙位寵)이 무신정권에 반기를 들었을 때, 왕명으로 서경의 여러 성()을 선유(宣諭)하며 점차로 귀순하게 하여 공부시랑(工部侍郎)이 되었다.

이듬해 전중감으로서 급사중 ( 給事中 ) 사정유 ( 史正儒 )와 함께 왕명으로 서경에 가서 조위총을 군신의 대의로 설유하여 그로 하여금 표문(表文)을 올려 항복을 청하게 하였다. 그러나 조위총이 곧 배반하여 귀로에서 죽이려 하였으나 미치지 못하여 화를 면하였다.

 

유자량(庾資諒)

응규의 아들 자량(資諒)은 고종(高宗)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역임.

 

유석(庾碩)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를 역임했다.

 

유경현(庾敬玄)

우승선(右承宣)을 역임하였다.

 

유귀산(庾龜山)

조선에서 검교한성부윤(檢校漢城府尹)을 역임하였다.

 

유오산(庾鰲山)

태종(太宗) 때 관찰사(觀察使)를 역임했다.

 

유득시(庾得時)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역임했다.

 

유순도(庾順道)

그리고 좌참찬(左參贊)을 역임하였다.

 

유찬홍(庾纘洪)

이외에도 시인(詩人) 이자 바둑 국수(國手)로 유명하였다.

 

유창순(庾昌淳)

1876(고종 13) 1927. 독립운동가. 본관은 무송 ( 茂松 ). 자는 사원(四源), 호는 송은(松隱). 충청남도 천원(지금의 천안) 출신. 역사와 위인의 사적을 통하여 애국심을 길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고 일제의 침략이 심화되자, 이듬해 홍주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913년 영주군 풍기에서 채기중 ( 蔡基中 ) · 유장렬(柳 使 烈) · 한훈 ( 韓焄 ) · 강병수(姜炳洙) · 김상옥 ( 金相玉 ) · 정진화 ( 鄭鎭華 ) · 이각(李覺) 등과 비밀결사 대한광복단을 조직하여 일본총독부의 요인과 친일분자를 몰아내기 위하여 군자금을 모금하고 무기를 구입하였다.

19157월 대구에서 활동하던 박상진 ( 朴尙鎭 ) · 양제안 ( 梁濟安 ) · 우재룡 ( 禹在龍 ) · 권영만(權寧萬) · 김경태 ( 金敬泰 ) · 김한종(金韓鍾) · 엄정섭(嚴正燮) 등과 제휴하여 대한광복회로 개칭하였다.

1916년 노백린 ( 盧伯麟 ) · 김좌진 ( 金佐鎭 ) · 신현대(申鉉大) · 윤홍중(尹洪重) · 신두현(申斗鉉) · 김정호(金鼎浩) · 권태진(權泰鎭) · 임병한(林炳翰) · 윤형중(尹瀅重) · 김홍두(金弘斗) · 윤치성(尹致晟) · 이현(李鉉) · 박성태(朴性泰) · 기명섭(奇明燮) 등을 규합하여 다시 광복단으로 개칭하였다.

191711월 총사령 박상진의 명령을 받고 채기중 · 임봉주 ( 林鳳柱 ) · 강순필 ( 姜順弼 ) 등과 같이 군자금모금에 협조를 거부하고 방해한 경상북도 칠곡의 친일부호 장승원(張承遠)을 사살하였다. 그리고 우재룡으로 하여금 경상남도의 재산가 명단을 가지고 중국으로 건너가, 이들에게 광복단의 취지와 포고문을 발송하게 하여 군자금을 모금하는 힘을 쏟기도 하였다.

이종국(李鍾國)의 밀고로 광복단의 활동이 일본경찰에 탐지되어 19181월 박상진 · 김한종 · 임세규(林世圭) 등과 함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그 뒤 가출옥되었으나 옥고로 얻은 병으로 순국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출전 <한민족대성보>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34

()

37

(),()

40

(),()

(),()

35

()

38

(),()

()

41

(),()

()

36

(),()

()

39

()()

()

42

(),()

()

 

198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유씨(茂松庾氏)는 남한(南韓)에 총 2,222가구, 9,473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445 예천 윤.jpg 예천윤씨(尹) 청남 14-08-29 2610
444 영천 윤.jpg 영천윤씨(尹) 청남 14-08-29 2675
443 양주 윤.jpg 양주윤씨(尹) 청남 14-08-29 2569
442 무송 윤.jpg 무송윤씨(尹) 청남 14-08-29 3498
441 남원 윤.jpg 남원윤씨(尹) 청남 14-08-29 4848
440 옥천 육.jpg 옥천육씨(陸) 청남 14-08-29 4614
무송 유.jpg 무송유씨(庾) 청남 14-08-29 5785
438 천녕 유.jpg 천녕유씨(兪) 청남 14-08-29 2891
437 창원 유.jpg 창원유씨(兪) 청남 14-08-29 6370
436 인동 유.jpg 인동유씨(兪) 청남 14-08-29 3202
435 무안 유.jpg 무안유씨(兪) 청남 14-08-29 3889
434 기계 유.jpg 기계유씨(兪) 청남 14-08-29 6825
433 고령 유.jpg 고령유씨(兪) 청남 14-08-29 2691
432 강진 유.jpg 강진유씨(兪) 청남 14-08-29 2758
431 배천 유.jpg 백천유씨: 배천유씨(劉) 청남 14-08-29 5383
430 거창 유.jpg 거창유씨(劉) 청남 14-08-29 3986
429 강릉 유.jpg 강릉유씨(劉) 청남 14-08-29 4607
428 장흥 위.jpg 장흥위씨(魏) 청남 14-08-29 3118
427 강화 위.jpg 강화위씨(韋) 청남 14-08-29 3003
426 비옥원씨(袁) 청남 14-08-29 279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