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삼척심씨(沈)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아라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삼척심씨)

 

본관(本貫): 삼척(三陟)

시조(始祖): 심동로(沈東老)

유래(由來):

 

삼척(三陟) 심씨(沈氏)의 일세조 심동로(沈東老)는 초명이 한()이었으며, 고려 말엽에 중서사인(中書舍人)과 예의판서(禮儀判書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 등을 지내고 지제고(知制誥)에 올라 진주군(眞珠君)에 봉해졌다. 1361(공민왕 10)에 이르러 노령으로 벼슬에서 물러나니 왕이 죽서루에 나와 칙명으로 동로라는 이름을 하사하며 식읍을 내렸다고 한다.

문헌에 의하면 그는 고려 문종조에서 문과(文科)에 장원급제(壯元及第)하고 문림랑으로 군기시주부(軍器寺主簿)를 역임한 심척충의 후손으로 전하나 계대가 불명하여 후손들은 동로(東老)를 일세조로 하여 삼척으로 창본(創本)하라는 유언을 만들어 본관을 삼척(三陟)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가문의 중요 인물

 

심공무(沈公懋)

동로의 아들 공무(公懋)가 문과에 올라 봉선대부(奉善大夫)로 서운관 부정(書雲觀副正)을 지냈다.

 

심원복(沈原福)

동로의 손자 원복(原福)은 현감(縣監)을 역임하여 가세를 일으켰다.

 

심가보(沈家甫)

한편 시조의 현손으로 조선 세조 때 문과에 급제한 가보(家甫: 맹은의 아들)는 양구(楊口)와 흡곡 현령(翕谷縣令)을 지냈다.

 

심희전

가보의 아들 희전은 중종 때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거쳐 홍원(洪原)과 흡곡 현령을 역임.

 

심준

춘추관(春秋官)의 기주관(記注官)을 거쳐 지제교(知製敎)를 지내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추증된 준(문계의 아들)은 이름을 떨쳤다.

 

심언경(沈彦慶)

1516(중종 11) 문과에 급제한 언경은 여러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고 동지경연사 (同知經筵事)와 세자좌빈객(世子左賓客)을 거쳐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이르렀다.

 

심언광(沈彦光)

1487(성종 18) 1540(중종 3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자는 사형(士 砦 ), 호는 어촌 ( 漁村 ). 사정 ( 司正 ) 충보(忠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병조판서 문계(文桂)이고, 아버지는 예조좌랑 준()이며, 어머니는 사직 김보연(金普淵)의 딸이다. 찬성 언경(彦慶)의 동생이다.

1507(중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어서 1513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에 보임되었다. 그 뒤 호당(湖堂 : 독서당의 다른 이름으로 임금의 특명으로 독서를 하던 곳)에 들어가 사가독서하면서 문명을 날려, 지평 ( 持平 ) · 정언 ( 正言 ) · 장령 ( 掌令 ) · 홍문관교리 · 집의 ( 執義 ) 등의 청요직을 두루 지냈다.

언관을 역임하면서 국방문제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국가기강의 확립을 위하여 심정 ( 沈貞 )을 비롯한 권간들의 횡포를 탄핵하였다. 1530년 대사간이 되어서는 형 언경과 함께 김안로 ( 金安老 )의 등용을 적극 주장, 실현시켰다. 그러나 김안로가 조정에서 실권을 장악하면서 붕당을 조직하고 대옥(大獄)을 일으켜 사림들을 모함하자, 비로소 지난 날 자신의 추천행위를 후회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김안로가 그의 외손녀를 동궁비로 삼으려 하자 이를 질책하니, 이를 계기로 두 사람 사이에 틈이 생겼다. 1536년 이조판서가 되고, 이어서 공조판서를 역임하면서 김안로의 비행을 비판하자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이듬해 함경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곧 김안로와 그 일당이 축출되자, 우참찬에 올랐다. 인종이 즉위하여 대윤(大尹)일파가 집권하면서 향배가 바르지 않다고 탄핵을 받아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그 뒤 복관되었으며, · · 화에 능하였다. 시호는 문공(文恭)이다.

 

심장원(沈長源)

1531(중종 26) 1607(선조 40).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삼척(三陟). 자는 경혼(景混). 아버지는 운()이며, 어머니는 강릉김씨로 예조참판 광철(光轍)의 딸이다. 일찍이 고아가 되어 독학하였으나 그 학문이 매우 깊었고 의롭지 않은 것은 하나도 취하지 않았다. 시부(詩賦)로써 경향에 문명을 떨쳤다.

1568(선조 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문과에는 급제하지 못하고 강릉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다. 고서화(古書 怜 )의 수집에 큰 관심을 가져 진기한 서화가 있다는 소식을 들으면 곧 달려가 채록, 수집하였다. 시문의 저술에도 노력을 기울여 수십권의 시문집이 있다. 일찍이 이이(李珥)와도 교유한 바 있다.

 

심운(沈雲)

그 외 언광(彦光)의 아들로 문집을 남겨 유명하다.

 

심일삼(沈日三)

합천(陜川)에서 출천지효자로 일컬어졌던 일삼(日三)이 유명했다.

 

심지택(沈之擇)

한강(寒岡) 정 구(鄭 求)의 문인으로 학행이 두드러졌던 지택(之擇)은 정조 때 공명과(功名科)에 급제하여 병조와 이조의 좌랑을 거쳤다.

 

심보영(沈寶永)

홍원현감(洪原縣監)을 역임하였다.

 

 

여기에 사진 설명을 넣으세요.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20

(),()

24

(),()

(),()

28

(),()

(),()

21

(),()

25

(),()

(),()

29

(),()

(),()

22

(),()

26

(),()

(),()

30

(),()

(),()

23

(),()

27

(),()

(),()

31

 

 

198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삼척(三陟) 심씨(沈氏)는 남한에 총 3,946가구, 16,68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365 광주 안.jpg 광주안씨(安) [1] 청남 14-08-29 4079
364 아씨(阿) 청남 14-08-29 2367
363 풍산 임.jpg 풍산심씨(沈) 청남 14-08-29 3130
362 청송 심1.jpg 청송심씨(沈) 청남 14-08-29 4458
삼척 심.jpg 삼척심씨(沈) 청남 14-08-29 3652
360 거창 신.jpg 거창신씨(愼) 청남 14-08-29 3992
359 영산 신1.jpg 영산신씨: 영월신씨(辛) [1] 청남 14-08-29 8227
358 평산 신.jpg 평산신씨(申) 청남 14-08-29 6341
357 아주 신.jpg 아주신씨(申) 청남 14-08-29 3645
356 고령 신.jpg 고령신씨(申) 청남 14-08-29 4010
355 능향시씨(柴) 청남 14-08-29 2637
354 절강 시.jpg 절강시씨(施) 청남 14-08-29 3283
353 창평 승.jpg 창평승씨: 남원승씨(昇) 청남 14-08-29 3938
352 연일 시.jpg 연일승씨(承) 청남 14-08-29 3458
351 광산 승.jpg 광산승씨(承) 청남 14-08-29 3089
350 순씨(順) 청남 14-08-29 2412
349 홍산순씨(荀) [2] 청남 14-08-29 3391
348 임천순씨(舜) 청남 14-08-29 2103
347 수씨(洙) 청남 14-08-29 2068
346 오흥수씨(水) 청남 14-08-29 236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