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교하노씨(盧)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교하노씨)

 

 

본관(本貫): 교하(交河)

시조(始祖): 노오(盧塢)

유래(由來):

 

교하 노씨(交河盧氏)는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둘째 아들 오()가 신라 말에 아버지를 따라 동래(東來)하여 교하백(交河伯)에 봉해졌으므로 시적(始籍)을 하게 되었다.

 

교하노씨세보(交河盧氏世譜)에 의하면 오()의 후손 강필(康弼)이 신라 말에 기계(杞溪)에 세거(世居)하면서 학문(學問)이 현달(顯達)하여 문명(文名)을 떨쳤고, 관향을 장산(章山)으로 이관(移貫)하였다가 태조(太祖)를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통합삼한개국공신(統合三韓開國功臣)으로 태자태사(太子太師)에 올랐으며 선성 부원군(宣城府院君)에 봉해져서 교하(交河)로 복관(復貫)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관향(貫鄕)을 교하로 삼고, 강필(康弼)을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의 중요 인물

 

노안맹(盧安孟)

2세손 안맹(安孟)이 동서면 병마사(東西面兵馬使)를 역임.

 

노영순(盧永醇)

안맹의 아들 영순(永醇)은 문하시중(門下侍中)과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후 감수국사(監修國史)에 올라 가문을 중흥시켰다.

 

노척

이부상서(吏部尙書) 영수의 아들 척은 경녕옹주(慶寧翁主 : 평양공 현의 딸)와 혼인하고 충목왕(忠穆王) 때 좌정승(左政丞)으로 경양부원군(慶陽府院君)에 봉해졌다.

 

노한

한편 창성군(昌城君) ( : 척의 둘째 아들)의 손자(孫子) 한은 국구(國舅) 민 제(閔 霽)의 딸과 혼인하여 태종(太宗)과 동서지간으로 벼슬이 영의정(領議政)에 이르렀고, 명나라 사신(使臣)의 방자 한 횡포를 저지시켜 명외교관으로 명성을 떨쳤다.

 

노사신(盧思愼)

1427(세종 9) 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자는 자반(子 獨 ), 호는 보진재( 癩 眞齋) · 천은당(天隱堂). ()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한( )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 ( 同知敦寧府事 ) 물재(物載)이며, 어머니는 심온 ( 沈溫 )의 딸이다.

활동상황1451(문종 1) 생원시, 1453(단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곧 집현전박사(集賢殿博士)에 선임되었다. 이어 집현전부수찬 · 성균관직강 · 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여 국가 사명(國家詞命)을 관장하였다.

1459(세조 5)에는 세자우문학(世子右文學), 이듬해는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462년에 세조의 총애로 세자좌문학에서 5자급(資級)을 뛰어넘어 승정원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

그 뒤 우부승지를 거쳐 1463년에는 도승지에 초배(超拜)되어 국가의 기무(機務)를 관장하였다. 같은 해 홍문관직제학을 겸하여 세조가 주석(註釋)역학계몽 易學啓蒙 의 주석서 요해 要解 를 증보하여 찬진(撰進)하고 불경을 한글로 번역하기도 하였다.

1465년에는 호조판서가 되어 최항 ( 崔恒 )과 함께 경국대전 편찬을 총괄하였다. 같은 해에 호조판서로서 충청도 가관찰사(假觀察使)를 겸하여 지방 행정의 부정을 낱낱이 조사했고, 이듬해에는 숭정대부 ( 崇政大夫 )에 올랐다. 또한, 1466년에 실시된 발영(拔英) · 등준(登俊) 양시에 응시하여 각각 1등과 2등으로 합격하는 영예를 얻었다.

1467년 말에는 건주위 정벌(建州衛征伐)의 공으로 군공 2(軍功二等)을 받았다. 1468년에는 남이 ( 南怡 ) · 강순 ( 康純 ) 등의 역모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공신 ( 翊戴功臣 ) 3등에 올라 선성군(宣城君)에 봉해졌다.

1469년에 의정부 우참찬 · 좌참찬을 거쳐 우찬성에 올랐다. 우찬성에 재임중 접반사 ( 接伴使 )로서 명나라의 사신 강호(姜浩)와 예교(禮交)를 맺어 외교적 성공을 거두기도 하였다.

1470(성종 1) 의정부좌찬성에 올라 이조판서를 겸했으며, 1471년에는 성종 즉위를 보좌한 공으로 좌리공신 ( 佐理功臣 ) 2등에 책록되었다. 1476년에 영돈녕부사 ( 領敦寧府事 )가 되어 사서(史書)와 시문을 찬진하고 성균관에서의 강의 등으로 성종의 문치를 도와, 1482년에는 선성부원군(宣城府院君)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85년에는 영중추부사로서 평안도와 경기도의 재해를 극복하기 위한 진휼사 겸 호조판서(賑恤使兼戶曹判書)가 되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1487년 말에는 명나라 효종 ( 孝宗 )의 즉위를 맞아 등극사 ( 登極使 )로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우의정으로서 영안도도체찰사(永安道都體察使)가 되어 국가의 사민정책(徙民政策)을 담당하였다.

1492년에 좌의정, 1495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그러나 문과 독권관(文科讀卷官)이었을 때 처족을 합격시켰다는 이유로 탄핵을 받아 영의정을 사직하였다. 1498(연산군 4) 무오사화 때 윤필상 ( 尹弼商 ) · 유자광 ( 柳子光 ) 등이 김일손 ( 金馹孫 ) 등 사림파를 제거하는 논의를 주동하자, 세조의 총신이었다는 처지 때문에 미온적으로나마 동조하였다.

그러나 유자광 등이 옥사를 확대하려는 것을 적극 견제하여 사림파의 피해를 줄이는 데 힘을 기울였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인 같은 해 9월에 병사하였다.

저술활동유년 시절에 홍응 ( 洪應 )과 함께 윤형 ( 尹炯 )에게 수학하였다. 학문에 조예가 깊어 문과 급제 직후에 이미 집현전학사가 되었다. 집현전학사 때에는 장서각에 나가 독서에 전념하여 진박사(眞博士) ’ 라는 별칭이 붙기도 하였다.

세조 · 성종의 총애를 받아 문치를 도와서, 호조판서에 재직할 때는 경국대전 의 편찬을 주관하고, 경국대전 호전(戶典)은 직접 편찬을 담당하였다. 또한 성종 때는 여러 사서(史書)의 편찬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147612월에는 서거정 ( 徐居正 ) · 이파 ( 李坡 )와 함께 삼국사절요 를 찬진하고, 1481년에는 서거정과 함께 동국통감 의 수찬에도 참여하였다. 그리고 강희맹 ( 姜希孟 ) · 서거정 · 성임 ( 成任 ) · 양성지 ( 梁誠之 )와 함께 동국여지승람 의 편찬을 총재했으며, 이를 위해 1476년부터 동국문사시문(東國文士詩文)을 수집하였다.

한편 1482년에는 이극돈(李克墩)과 함께 통감강목 通鑑綱目 을 신증(新增)하고, 이듬해에는 연주시격 聯珠詩格 황산곡시집 黃山谷詩集 을 서거정 · 어세겸 ( 魚世謙 ) 등과 같이 한글로 번역하는 등의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시호는 문광(文匡)이다.

 

노공필(盧公弼)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희량(希亮), 호는 국일재(菊逸齋). 할아버지는 동지돈영부사 물재(物載)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사신(思愼)이며, 어머니는 첨지(僉知) 경유근(慶由謹)의 딸이다. 경기도 교하현(交河縣 : 지금의 파주)출신이다.

1462(세조 8) 사마시 ( 司馬試 )에 합격하여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 · 사직서영(社稷署令)을 지낸 뒤 1466년 춘시문과에 2등으로 급제, 성균관직강이 되고 홍문관전한(弘文館典翰) · 부제학을 거쳐 병조 · 이조 · 예조의 참의와 도승지를 역임하였으며, 1483년 대사헌이 되었다.

그뒤 1489년에 공조판서가 된 데 이어 6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으며, 외직으로는 경기도관찰사를 지냈다. 1498(연산군 4) 의정부우참찬이 되고, 1500년 교성군(交城君)에 봉해 졌다. 1503년 우찬성에 올랐으나, 이듬해 일어난 갑자사화에 연좌되어 무장 ( 茂長 )으로 장배(杖配)되었다.

그 뒤 중종반정 ( 中宗反正 )으로 귀양에서 풀려나와 다시 우찬성이 되었다가 1507(중종 2) 영돈녕부사 ( 領敦寧府事 )로 승진하였다. 이때 명나라에 가서 중종 즉위의 경위를 설명하고 명나라 왕으로부터 권서국사(權署國事)의 칙지를 받아 귀국하였다. 그 공로로 원종공신 ( 原從功臣 ) 1등에 녹훈되고 영중추부사 ( 領中樞府事 )에 올랐다.

1514년 영중추부사로 벼슬을 그만둔 뒤 궤장( 廓 杖)이 하사되었다. 충성심과 효심이 지극하고 일가친척의 관혼상제를 두루 살폈으나, 자신은 검소한 생활에 만족하였다.

 

노직(盧稙)

현감(縣監) 홍우(弘祐)의 아들 직()이 선조(宣祖) 때 알성문과(謁聖文科)에 장원하고 형조 좌랑(刑曹佐郞)이 되어 형옥(刑獄)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왕의 신임을 받았다.

 

노직(盧稷)

직의 아우 직()은 임진왜란 때 병조 참판(兵曹參判)으로 왕을 호종(扈從)했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는 접반부사(接伴副使)로 명()나라와 병사(兵事)를 논의했다. 벼슬은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거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고, 글씨에 뛰어나 예서(隸書)와 전서(篆書)에 일가를 이루었다.

 

노계원(盧繼元), 노후원(盧後元)

또한 학행(學行)과 문장(文章)으로 가문(家門)을 중흥시킨 인물로는 경기(景麒)의 아들로 선조(宣祖) 때 이름을 떨친 계원(繼元)과 후원(後元) 형제가 유명했다.

 

노문한(盧文漢)

인조조(仁祖朝)에 능주 목사(綾州牧使)를 역임.

 

노태우(盧泰愚)

대통령

 

 

 

출전 <한민족대성보>

 

 

 

항렬(行列)

항렬자

항렬자

항렬자

27

()

34

(),()

()

41

(),()

()

28

()

35

(),()

()

42

(),()

()

29

()

36

(),()

()

43

(),()

()

30

()

37

(),()

()

44

(),()

()

31

()

38

(),()

()

45

(),()

()

32

(),()

()

39

()()

()

46

(),()

()

33

(),()

()

40

(),()

()

47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교하 노씨(交河 盧氏)는 남한(南韓)에 총 11,182가구, 45,812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185 광주 노.jpg 광주노씨(魯) [1] 청남 14-08-26 2853
184 갈화 노.jpg 강화노씨(魯) 청남 14-08-26 2842
183 해주 노.jpg 해주노씨(盧) 청남 14-08-26 2315
182 풍천 노.jpg 풍천노씨(盧) 청남 14-08-26 4244
181 장연 노.jpg 장연노씨(盧) 청남 14-08-26 3177
180 연일 노.jpg 연일노씨(盧) 청남 14-08-26 1875
179 안동 노.jpg 안동노씨(盧) 청남 14-08-26 2222
178 안강 노.jpg 안강노씨:경주노씨(盧) 청남 14-08-26 2808
177 신창 노.jpg 신창노씨(盧) 청남 14-08-26 2647
176 만경 노.jpg 만경노씨(盧) 청남 14-08-26 4160
교하 노.jpg 교하노씨(盧) 청남 14-08-26 4304
174 광산 노1.jpg 광산노씨:광주노씨(盧) 청남 14-08-26 5290
173 곡산 노.jpg 곡산노씨(盧) 청남 14-08-26 2567
172 나주내씨(奈) 청남 14-08-26 1967
171 개성 내.jpg 개성내씨(乃) 청남 14-08-26 2760
170 진주낭씨(浪) 청남 14-08-26 2524
169 영양남씨:의령남씨:고성남씨(南) [1] 청남 14-08-26 8070
168 람열 남궁.jpg 함열남궁씨(南宮) 청남 14-08-26 2856
167 정산나씨(羅) 청남 14-08-26 1817
166 안정 나.jpg 안정나씨(羅) 청남 14-08-26 255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