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화순최씨(崔)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崔(화순최씨)

 

 

본관(本貫): 화순(和順)

시조(始祖): 최세기(崔世基)

유래(由來):

 

화순 최씨(和順崔氏)는 최씨(崔氏)의 득성조(得姓祖)인 소벌도리(蘇伐都利)의 후손으로 고려 중엽 평장사(平章事)를 지냈고 오산(烏山:화순 별호) 군(郡)에 봉해진 최세기(崔世基)를 시조(始祖)로 하고 본관(本貫)을 화순(和順)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었다.

그러나 상계(上系)가 실전되어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거쳐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후손 최계(崔桂)를 일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가문의 중요 인물

 

최계신(崔繼臣)

언(堰)의 아들 계신(繼臣)이 고려 때 봉상대부(奉常大夫)를 지냈다.

 

최영호(崔永浩)

계신의 두 아들 중 영호(永浩)가 충렬왕(忠烈王) 때 보승산원(保勝散員)을 지냈다.

 

최영유(崔永濡)

영유(永濡:충절공)는 1361년(공민왕10) 해주 목사(海州牧使)로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으로 포위된 수양성(首陽城)을 끝까지 지키다가 적의공격으로 성(城)이 함락되자, 혈서(血書)를 남기고 귀중한 관인(官印)을 안고 깊은 못에 투신 자결했다. 그 후 못가에 충절비(忠節碑)가 세워지고 못 이름을 투인담(投印潭)이라 했다.

 

최원지(崔元之)

영유의 아들 원지(元之)는 조선이 개국되자 금산(金山)의 절에 은거(隱居)했는데, 뒤에 절이 없어지고 마을이 생기니 하노리(賀老里)라 불렀다.

 

최자해(崔自海)

원지의 큰 아들 자해(自海)는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냈다.

 

최선복(崔善復)

자해의 아들 선복(善復)은 경주 부윤(慶州府尹)를 역임했다.

 

최선문(崔善門)

?∼1455(세조 1).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경부(慶夫). 호는 동대(東臺). 아버지는 중부령(中部令) 자강(自江)이며, 어머니는 진주강씨(晋州姜氏)이다.

지조가 높고 행동이 고결하여 김종직 ( 金宗直 ) 등과 같은 사림의 존경을 받았다. 일찍이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금릉 하로리(賀老里)에 은거하며 학문에 전념하였다.

그의 문과급제 여부와 시기에 대하여는 ≪국조인물고≫에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고 되어 있으나, ≪국조방목≫의 문과급제자 명단에는 없다. 1421년(세종 3) 처음으로 지평에 등용된 뒤 문종 때 이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뒤에 공조판서를 지냈으나 문종의 뒤를 이은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양위하자 사직하였다. 1455년(세조 1) 좌찬성에 제수되었으나 끝내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김산 ( 金山 )의 경렴서원(景濂書院)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최중홍(崔重洪)

1466(세조 12)∼1533(중중 2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자부(子溥). 안선(安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성 사로(士老)이고, 아버지는 예조참의 한정(漢禎)이며, 어머니는 병조참의 이익(李翊)의 딸이다.

1483년(성종 14) 진사가 되고, 1496년(연산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 ( 史官 )을 거쳐 예조정랑으로 재직중 1504년 갑자사화를 당하여 삭직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사섬시정(司贍寺正)에 복직되었으며, 형조참의를 거쳐 1510년(중종 5) 장례원 판결사가 되었고, 이듬해 병조참의, 1516년 전주부윤이 되었다. 이 때 염근수령(廉謹守令)으로 뽑혀 가자(加資)되었고, 1519년 충청도관찰사에 이어 형조참판으로 판결사를 겸하였다.

1523년 정조사 ( 正朝使 )로 명나라에 파견되었으며, 이듬해 돌아와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1531년 충청도관찰사가 되었으나 도민들에게 해채(海菜) 수집을 독려하여 익사자가 많아지자 파직 탄핵을 받았다. 이듬해 동지중추부사에 이어 강원도관찰사가 되었고, 1533년 전라도관찰사를 지냈다

 

최흥림(崔興霖)

학자(學者) 흥림(興霖)은 당시 학문의 대가(大家)인 성제원(成悌元), 조 식(調 植) 등과 교유하며 보은(報恩)의 금적산(金積山)에 은거하여 성리학(性理學)을 연구했다.

 

최영경(崔永慶)

1529(중종 24) ∼ 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효원(孝元), 호는 수우당(守愚堂). 서울 출생. 전라도관찰사 중홍(重洪)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교하현감 훈(壎)이고, 아버지는 병조좌랑 세준(世俊)이다. 어머니는 현감 손준(孫濬)의 딸이다.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재질을 보였으며, 여러 번 초시에 합격했으나 복시 ( 覆試 )에서 실패하였다. 학행으로 1572년(선조 5) 경주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듬해 주부에 제수되었으나 역시 나가지 않았고, 연이어 수령 · 도사 · 장원 ( 掌苑 ) 등의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당시 안민학 ( 安敏學 )이 자주 찾아와 정철 ( 鄭澈 )을 칭찬하고 만나볼 것을 권했지만, 단호히 거절하였다. 1575년 선대의 전장(田庄)이 있는 진주의 도동 ( 道洞 )으로 은거하였다. 마침 나라에서 사축(司畜)에 제수하고 그를 부르자, 잠시 나가 취임했다가 곧 그만두었다.

정구 ( 鄭逑 ) · 김우옹(金宇 裵 ) · 오건 ( 吳健 ) · 하항(河沆) · 박제인(朴齊仁) · 조종도(趙宗道) 등과 교유하며, 절차탁마(切磋琢磨)하였다. 1576년 덕천서원 ( 德川書院 )을 창건하여 스승 조식을 배향하였다.

이듬해에는 외아들 홍렴(弘濂)이 죽는 불행을 겪었다. 1581년 사헌부지평에 임명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나가지 않았다. 이 상소에서 붕당의 폐단을 논하였다.

1585년 ≪ 소학 ≫ · 사서(四書)의 언해를 위한 교정청낭청(校正廳郎廳)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590년 정여립 역옥사건(鄭汝立逆獄事件)이 일어나자 그는 유령의 인물 삼봉(三峯)으로 무고되어 옥사(獄死)하였다. 당시 정적 정철과의 사이가 특히 좋지 않아 그의 사주로 죽은 것으로 의심을 받았다.

그러나 1591년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어 대사헌에 추증되고, 사제(賜祭)의 특전이 베풀어졌다. 1611년(광해군 3) 산청의 덕천서원에 배향되었다.

 

최일(崔逸)

1615(광해군 7)∼1686(숙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일지(逸之). 호는 석헌(石軒). 효원(孝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잠(潛)이고, 아버지는 좌참찬 상현(象玄)이며, 어머니는 충의위 ( 忠義衛 ) 조여효(曺與孝)의 딸이다. 장유 ( 張維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32년(인조 10) 진사시에 합격하고, 1646년 음보로 효릉참봉(孝陵參奉)이 되고, 이해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지평·교리·정언을 거쳐 1653년(효종 4) 홍천현감으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세워졌다.

충청우도추쇄어사(忠淸右道推刷御史)가 되어 당시 노비 등이 주인을 배반하고 내수사 ( 內需司 )에 소속되어 있던 것을 모두 추쇄하여 본 주인에게 돌려줌으로써 노비와 주인간의 분규를 거국적으로 해결하여 명성이 높았다.

이듬해 경성판관을 지냈고, 1659년 한산군수를 거쳐 1660년(현종 1) 장성부사가 되어서는 기민을 구제하는 데 힘썼다.

1665년 헌납으로 춘추관기주관이 되어 ≪효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다음해에는 각 관청의 물품출납을 서리 ( 胥吏 )에게만 맡기기 때문에 미포(米布)에 대한 농간이 있다고 하여, 반드시 책임자의 입회하에 출납을 엄중히 해서 그 농간을 바로잡을 것을 진언하여 그대로 시행하게 하였다.

그 뒤 장령·집의 등을 거쳐 1672년 호조참의, 1677년(숙종 3) 좌승지·형조참의를 역임하였으며, 뒤에 병조·호조의 참판을 지냈다. 일찍이 경연관 ( 經筵官 )이 되어 숙종을 시강할 때, 숙종은 그의 청빈함을 가상히 여겨 초모(貂帽)를 하사한 바 있다.

 

최후, 최주하(崔柱夏)

현감을 지낸 후( ), 주하(柱夏) 등은 함께 가문을 빛냈다.

 

 

198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화순 최씨(和順崔氏)는 남한에 총 6,628가구, 27,517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전 <한미족대성보>.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765 정강 편.jpg 절강편씨(片) 청남 14-08-30 4648
764 절강 팽.jpg 절강팽씨(彭) 청남 14-08-30 3380
763 용강 팽.jpg 용강팽씨(彭) 청남 14-08-30 3266
762 해주 판.jpg 해주판씨(判) 청남 14-08-30 3187
761 협계 태.jpg 협계태씨(太) 청남 14-08-30 3448
760 영순 태.jpg 영순태씨(太) 청남 14-08-30 3874
759 남원 태.jpg 남원태씨(太) 청남 14-08-30 2949
758 해주탄씨(彈) 청남 14-08-30 3060
757 광산 탁.jpg 광산탁씨(卓) 청남 14-08-30 3735
756 추씨(鄒) 청남 14-08-30 2786
755 추계 추.jpg 추계 추씨: 전주추씨(秋) 청남 14-08-30 5560
754 동주 최1.jpg 동주:철원최씨(崔) 청남 14-08-30 4979
753 흥해 최.jpg 흥해최씨(崔) 청남 14-08-30 3722
752 황주 최.jpg 황주최씨(崔) 청남 14-08-30 3376
화순 최.jpg 화순최씨(崔) 청남 14-08-30 3696
750 황주 최.jpg 해주최씨(崔) 청남 14-08-30 4229
749 한남최씨(崔) 청남 14-08-30 2391
748 통천 최.jpg 통천최씨(崔) 청남 14-08-30 3333
747 태인 최.jpg 태인최씨(崔) 청남 14-08-30 2604
746 탐진 최1.jpg 탐진최씨(崔) 청남 14-08-30 571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