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여양진씨(陳)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陳(여양진씨)

 

 

본관(本貫): 여양(驪陽)

시조(始祖): 진총후(陳寵厚)

유래(由來):

 

 

 

여양 진씨(驪陽陳氏)는 고려 인종  때의 장군인 진총후(陳寵厚)를 시조로 한다.「여양진씨대동보」에 의하면 총후는 고려 예종조에 호분위  대장군을 지내고, 인종 때 이자겸의 난을 토평하는데 공을 세워 신호위  대장군(神虎衛大將軍)에 오르고 여양군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여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오면서 나주(羅州)·강릉(江 陵)·삼척(三陟)·흥덕(興德)·양주(楊州)·덕창(德昌) 등으로 분적되어 각각 본관을  달리 사용해 오다가, 모두가 총후를 시조로 하는 동원분과이므로 오늘날에 와서는 여양으로 합보하여 나주(羅州)·강릉(江陵)·삼척파(三陟派)로 통일하고 있다.

 

가문의 중요 인물

 

진준(陳俊)

 총후(寵厚)의 아들 준(俊)이 좌군 병마사(左軍兵馬使)·참지정사(參知政事)·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지낸 후  덕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진화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양(驪陽 : 지금의 洪城). 호는 매호(梅湖). 여양군(驪陽君) 총후(寵厚)의 증손이다. 정중부 ( 鄭仲夫 )의 난 때에 문신을 보호해 주었던 참지정사 ( 參知政事 ) · 판병부사(判兵部事) 준(俊)의 손자이다. 병부상서 광수(光脩)의 아들이며 식(湜) · 온(溫)의 아우이다.

출생연도는 기록에 없으나 그의 문집에 있는 〈 매호공소전 梅湖公小傳 〉 에 의하면 1200년(신종 3)에 아직 혼인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므로 대략 1180년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진화는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있었고 명종이 신하들에게 〈 소상팔경 瀟湘八景 〉 시를 짓도록 하였을 때에 어린 나이로 장편을 지어 이인로 ( 李仁老 )와 더불어 절창이라는 평을 받았다. 1198년 사마시에 수석으로 합격하였다. 1200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다음해에 내시 ( 內侍 )에 보직되였다. 1209년(희종 5) 학정 ( 學正 )으로 전직하였다. 1212년(강종 1)에 제과시험(制科試驗)에 참여하여 조서(詔書)를 짓는 일을 맡아보았다. 1213년에는 설화(舌禍)로 벼슬에서 물러났다가 다시 한원(翰苑)에 들어갔다.

1215년(고종 2)에 관각제공(館閣諸公)에게 부시(賦詩) 40여운(韻)을 시험하였는데, 이규보 ( 李奎報 )가 수석을 차지하고 진화는 차석이었다. 서장관 ( 書狀官 )으로 금나라에 다녀온 뒤에 옥당 ( 玉堂 )으로 옮겨 지제고 ( 知制誥 )를 겸직하였다.

정언 ( 正言 )에서 보궐 ( 補闕 )을 거쳐 우사간이 되어 지공주사(知公州事)에 보직되었다가 재직 중에 별세하였다. 〈 한림별곡 翰林別曲 〉 제1장에서 “ 이정언 진한림 쌍운주필(李正言 陳翰林 雙韻走筆) ” 이라고 하였듯이 진화는 주필(글씨를 흘려서 빨리 씀)로 이름난 시인이다.

그의 시는 현재 59수가 전하고 있다. 그 중 무신의 난 이후의 피폐한 농촌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 도원가 桃源歌 〉 가 특히 유명하다. 금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지은 〈 사금통주구일 使金通州九日 〉 · 〈 봉사입금 奉使入金 〉 등의 시도 절창이다.

진화의 시는 관인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시와 자연을 소재로 한 정감을 표현한 시로 나뉜다. 자연을 묘사한 시에서는 산수 · 전원을 청담(淸淡)하게 표출하였다는 평을 얻고 있다.

허균 ( 許筠 )도 그의 시를 맑고 굳세어 읊을 만하다고 하였다. 스스로도 청나라를 위주로 시를 쓴다고 한 바가 있다. 그의 시에 대한 평가는 ‘ 청신(淸新) ’ · ‘ 청려(淸麗) ’ 등의 평어로 일관되어 있다.

1784년(정조 8)에 진화의 15세손 후( 潤 )가 ≪ 동문선 ≫ · ≪ 동인시화 ≫ · ≪ 기아 ≫ 등에서 시작품을 찾아내어 ≪ 매호유고 ≫ 를 간행하였다. 이 책은 1973년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 고려명현집 高麗明賢集 ≫ 2에 영인되어 있다.

 

진복창(陳復昌)

∼ 1563(명종 1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양 ( 驪陽 ). 자는 수초(遂初). 풍덕(風德) 출생. 유번(有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석경(錫卿)이고, 아버지는 현감 의손(義孫)이며, 구수담 ( 具壽聃 )의 문인이다.

1535년(중종 30) 생원으로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그 뒤 정자 · 전적 · 장령을 거쳐 부제학 · 부평부사 등을 지냈다. 척신 세도가였던 소윤 윤원형 ( 尹元衡 )의 심복이 되어 1545년(명종 즉위년) 을사사화 때 대윤에 속한 사림의 숙청에 크게 활약, 많은 사람들이 해를 입자 사관 ( 史官 )들로부터 ‘ 독사(毒蛇) ’ 로 기록되었다.

1550년에는 자기를 추천하여 준 구수담까지 역적으로 몰아 사사(賜死)하게 하는 등 윤원형이 미워하는 사람이 있으면 앞장서 옥사를 일으켜 제거하자 ‘ 극적(極賊) ’ 이라는 혹평을 들었다. 대사헌을 거쳐 1560년 공조참판에 올랐으나 윤원형으로부터 간교, 음험한 인물로 배척, 파직되어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

1563년 죄가 가중,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가 배소에서 죽었다. 교활한 성품과 어머니의 행실까지 방종하여 더욱 지탄을 받았으나 문장과 글씨에는 뛰어나 〈 역대가 歷代歌 〉 · 〈 만고가 萬古歌 〉 등의 시가를 남겼다.

 

진식(陳寔)

1519(중종 14)∼1568(선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양 ( 驪陽 ). 자는 낙이(樂而). 치중(致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猷)이고, 아버지는 진사 복명(福命)이며, 어머니는 황진 ( 黃璡 )의 딸이다.

1547년(명종 2)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대교·정언·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1556년 병조정랑, 이듬해 검상 ( 檢詳 )· 사인 ( 舍人 ), 1558년 내섬시부정(內贍寺副正), 1559년 전한 등을 지냈다.

1560년 형조참의를 거쳐 의주목사로 출보(出補)되었다가 1563년 공조참의와 동부승지를 역임하였으며, 이듬해 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로 명나라에 성절사 ( 聖節使 )로 다녀오고, 이어 이조참의가 되었다.

1566년 대사간·호조참의, 다음해 병조참지·부제학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였다. 일찍이 권신 김안로 ( 金安老 )의 횡포에 맞서 그 일당을 탄핵하는 등 기개가 높았다.

 

진무성(陳武晟)

1566(명종 21) ∼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여양 ( 驪陽 ). 자는 사규(士赳). 호는 송계(松溪). 고려조의 문인으로 유명한 화( 捷 )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증참판 인해(仁海)이다.

어려서부터 부모에게 효도하고 의협심이 많으며, 글을 배우면서도 무예를 좋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이순신 ( 李舜臣 ) 휘하의 군관으로 있으면서 그 해 6월 당포해전(唐浦海戰)에서부터 공을 세우고 용명을 날렸다.

육상에서 진주전투가 있을 때에도 정탐 연락의 임무를 띠고 적의 진중을 왕복하여 수훈을 세웠다. 1597년 원균 ( 元均 )이 이순신을 대신하여 통제사가 되고 적의 재침으로 수군이 열세에 몰렸을 때에도 동요하지 않고 화공으로 적선을 무찔러 애국충절의 기개를 보였다.

뒤에 임진왜란의 전공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34세가 되던 1599년에 비로소 무과에 급제하고, 유원진첨사(柔遠鎭僉使) · 경흥부사 · 통제영우후(統制營虞候) 등의 무관요직을 두루 거쳤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있은 뒤에 장재(將才)가 거듭 인정되어 다시 북방요지 구성군수에 임명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고흥 용강사(龍岡祠)에 제향되었다.

 

진경문

경문은 덕망높은 학자로 명망이 높았다.

 

진헌(陳憲)

현감(懸監)을 역임하였다.

 

진만재(陳晩宰)

예조좌랑(禮曹佐郞)을  역임하였다.

 

진효겸(陳孝謙)

첨사(僉使)를 지내 가문을 빛나게 하였다.

 

 

 198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여양 진씨는 남한에 총 24,189가구, 100,232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전 <한미족대성보>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705 연안천씨(天) 청남 14-08-30 3107
704 영양 천.jpg 영양천씨(千) 청남 14-08-30 6809
703 여산채씨(采) 청남 14-08-30 2424
702 진주채씨(菜) 청남 14-08-30 2674
701 평강 채.jpg 평강채씨(蔡) 청남 14-08-30 4255
700 인천 채.jpg 인천채씨(蔡) 청남 14-08-30 4148
699 공주창씨(昌) 청남 14-08-30 2593
698 아산창씨(倉) 청남 14-08-30 2556
697 연안 차.jpg 연안차씨(車) 청남 14-08-30 4742
696 서산진씨(眞) 청남 14-08-30 3071
695 남원 진.jpg 남원진씨(晋) 청남 14-08-30 3555
694 풍기 진.jpg 풍기진씨(秦) 청남 14-08-30 4606
693 진주 진.jpg 진주진씨)秦) 청남 14-08-30 3623
여양 진.jpg 여양진씨(陳) 청남 14-08-30 5075
691 양산 진.jpg 양산진씨(陳) 청남 14-08-30 4833
690 삼척 진.jpg 삼척진씨(陳) 청남 14-08-30 4271
689 광동 정.jpg 광동진씨(陳) 청남 14-08-30 3550
688 봉산지씨:봉주지씨(智) 청남 14-08-30 3074
687 충주 지.jpg 충주지씨(池) 청남 14-08-30 4437
686 청주준씨(俊) 청남 14-08-30 2629
게시물 검색